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윤종해 의장과 ‘문화야 놀자’ 이기곤 집행위원장, 노조관계자들이 2일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정치놀음으로 전락한 광주형 일자리 불참, 협약 파기’를 공식 선언하고 있다.(사진=조영정 기자)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윤종해 의장과 ‘문화야 놀자’ 이기곤 집행위원장, 노조관계자들이 2일 오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정치놀음으로 전락한 광주형 일자리 불참, 협약 파기’를 공식 선언하고 있다.(사진=조영정 기자)

[현장뉴스=조영정 기자]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가 2일 ‘정치놀음으로 전락한 광주형 일자리 불참, 협약 파기’를 공식 선언해 노사상생형 일자리모델로 주목받은 ‘광주형 일자리’ 사업이 좌초 위기에 처했다.

이날 오후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 윤종해 의장과 ‘문화야 놀자’ 이기곤 집행위원장, 노조관계자들이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강행하고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했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끝없는 인내를 가지고 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자본의 욕심과 무능한 행정의 벽을 결국 넘지 못했다”면서 “이제 더이상 광주형 일자리는 ‘상생’의 일자리 모델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특히 박광태 전 광주시장을 합작법인 광주 글로벌모터스 대표이사로 선임하고 현대차 퇴직자, 퇴직 공무원 등을 요직에 앉히는 등 인사 과정을 문제 삼았다.

광주본부는 “민선 7기 들어 ‘더 나은 일자리위원회’가 해체되고 노동 정책이 후퇴했으며 광주형 일자리 추진 과정에서는 노동계를 동원 대상화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에는 대기업이 400여억원을 투자하지만 부산, 울산, 구미에는 수천억대 투자가 줄을 이어 정부 차원의 세밀한 점검과 대책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한국노총 광주지역본부가 광주형 일자리 협약 파기를 선언할 예정이다’는 한국노총의 성명서 발표와 관련해 이날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광주시가 더욱 낮은 자세로 노력하겠다.”면서 “온 국민의 간절한 염원과 광주시민들의 일자리에 대한 기대와 열망을 외면하지 마시고 지역 노동계가 함께 해줄 것을 부탁한다.”고 간곡히 호소했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국노총 광주형일자리 협약 파기 예고'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노동계와 함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꼭 성공시키고 싶다”고 밝히고 있다.(사진=조영정 기자)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2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한국노총 광주형일자리 협약 파기 예고'와 관련해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노동계와 함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꼭 성공시키고 싶다”고 밝히고 있다.(사진=조영정 기자)

이어 “투자협약 내용에 본질적으로 위배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노동계에서 협약 파기 이유로 내건 여러 요구 사항을 모두 수용한다.”고 거듭 동참을 호소했다.

이 시장은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원하청 상생 방안, 노사 상생, 사회통합 일자리 협의회 구성, 지난해 1월 31일 투자협약서 공개 등 6개 항목의 노동계 요구 사항과 광주시의 입장을 설명했다.

특히 이 시장은 사회통합 일자리 협의회 구성은 물론 투자협약서 공개 요구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섭 시장은 “광주시와 지역노동계, 현대차가 합의해 지난해 1월31일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체결한 투자협약서와 상생협정서는 이 사업을 반드시 성공시키겠다는 국민과의 약속”이라면서 “추진과정에 서운함이나 이견이 있더라도 추진 주체들이 ▲상호존중과 신뢰 ▲소명의식과 책임감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광주시는 지역 노동계와 함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성공시켜 우리 아이들의 일자리를 만들어내고 싶다”면서 “코로나19로 인해 국민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금 지역 노동계가 대의를 쫓아 한국경제의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 달라”고 거듭 호소했다.

한편 광주형 일자리는 적정 임금과 적정 노동시간 보장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일자리를 늘려 지역 경제를 살리자는 취지로 시도됐다. 지난해 1월 광주시와 현대차, 한국노총 광주본부 등 노사민정협의회가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원하청 상생방안, 노사책임경영 등 4대 원칙을 기반으로 노사상생형 일자리를 만들기로 합의하면서 추진됐고, 노동조건은 ‘주 44시간, 평균 연봉 3500만원’으로 하고 기본급 비중을 높이는 선진임금체계는 외부 전문가와 연계한 연구용역 후 결정·도입키로 했다.

저작권자 © 현장뉴스(field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