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 소득과 친환경 에너지 전환, 두 마리 토끼 잡는다
국회의장·농식품부장관·농민 등 200여명 참석···성공 의지 다져
[현장뉴스=조영정 기자] 광주광역시가 전국 최초로 ‘기업 RE100’과 연계한 영농형 태양광 사업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이번 사업은 기업에는 친환경 에너지 조달 기반을, 농민에게는 새로운 기본소득모델을 제시해 에너지 전환과 농촌 소득 안정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실현하고자 한다.
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는 ‘본량동 영농형 태양광 민관협의회 출범식’이 열렸다. 이 행사에는 강기정 광주시장, 우원식 국회의장,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등 주요 인사와 농민 등 약 200명이 참석했다.
영농형 태양광은 농지 위에는 태양광 발전 설비를, 그 아래에서는 농작물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같은 땅에서 농업과 에너지 생산을 함께 하는 모델이다. 광산구 북산동(본량동) 일원 20만㎡ 부지에 10MW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해 생산된 전기를 인근 기업에 공급함으로써 기업의 RE100 실현도 돕는다.
농민과 기업 모두가 이익을 공유하는 선도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농민 주도로 설계됐으며,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연말까지 특별법 제정과 농지법 개정이 추진된다.
협의회에는 주민과 정부, 광주시, 광산구, 시의회와 구의회 의원들이 위원으로 참여해, 사업 진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해결과 사회적 합의 도출을 책임진다.
이득룡 협의회 위원장은 “설명회에서 영농형 태양광에 대해 배우며, 단순히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넘어 농민의 지속 가능한 소득과 지역 미래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농민의 목소리를 더 잘 반영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민관협의회가 에너지 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와 지역 갈등을 대화와 협력으로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상생 모델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농민 중심의 모범적 영농형 태양광 모델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이번 사업은 농민에게는 햇빛연금을, 기업에는 RE100 실현을 이루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다”며 “농민 주도의 민관협의회가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 농업과 에너지가 함께 성장하는 전국적 표준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