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7일 오전 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2월 정례조회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자동차공장에서 다른 분야로 확산시켜 ‘노사상생도시 광주’를 만드는데 총력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사진=조영정 기자)

[현장뉴스=조영정 기자]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7일 오전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2월 정례조회에서 “광주형 일자리 모델의 첫 사업인 자동차공장 투자유치 협약이 체결됐다”면서 “광주시민을 비롯한 온 국민의 간절한 열망이 드디어 결실을 맺었으며 우리 광주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역사”이라고 밝혔다.

이용섭 시장은 이날 1월중 성과로 “광주형 일자리는 애초에 광주 청년들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시작되었지만, 이제는 한국경제의 미래가 달린 대한민국의 희망이 되었다”며 “이 사업이 성공하면 광주에서 1만2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뿐 아니라 한국경제의 체질을 바꾸고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고임금과 노사분쟁 때문에 해외로 나가려던 기업을 국내에 머물도록 하고 이미 나갔던 제조업체들을 국내로 되돌아오게 하는 리쇼어링(reshoring)의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이제 첫걸음을 내딛었다. 앞으로 투자자를 모집하고 합작법인을 설립해 공장을 신축해야 하는 등 2021년 자동차 양산에 들어가기까지 많은 과제들이 남았다”고 강조했다.

또 “시장성과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업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며 “아울러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자동차공장에서 다른 분야로 확산시켜, 노동이 존중받고 기업하기 좋은 ‘노사상생도시 광주’를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시장은 “이 길이 ‘정의롭고 풍요로운 광주’를 실현하는 길”이라면서 “이 모델을 다른 지역으로 확산시켜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성공시켜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일부에서 광주형 일자리를 반대하고 있는데 이것은 상당부분 오해 내지 편견”이라며 “임금의 하향 평준화를 우려해 반대하는 것은 일자리가 없어 고통받고 있는 청년들을 외면하는 기득권자의 이기주의이며 미래를 내다보지 못하는 단견”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광주형 일자리는 현재 있는 일자리를 위협하는 것이 아니고 현재 있는 일자리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라면서 “자동차 산업의 위기를 가중시키는 것이 아니고, 혁신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경쟁력을 높이는 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고용 위기에 빠진 한국경제의 새로운 돌파구가 되고 침체된 제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광주시가 신청한 ‘인공지능(AI) 중심 과학기술창업단지 조성사업’이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대상에 선정되는 성과도 있었다”며 “지역발전 전략을 SOC 중심에서 벗어나 미래혁신 성장산업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자평했다.

이어 “인공지능 R&D사업은 SOC 건설사업에 비해 훨씬 많은 일자리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산업유발 효과도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면서 “우리지역 전략산업인 자동차, 에너지, 광산업, 문화콘텐츠 등에 인공지능을 접목하게 되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융복합 신산업이 육성되고 좋은 일자리도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지난달에 민선 7기 광주시 문화정책 발표를 통해 ‘품격있는 문화도시 광주’의 청사진을 제시했다”며 “문화가 시민의 일상이 되는 진정한 문화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4대 목표와 10대 중점과제를 차질 없이 시행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현장뉴스(field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